반응형
아래는 어쨋건 파일구리는 검색어제한을 저렇게 허술하게 걸어놓고
날 열어주세요 하고있다는 전제와
어렵지않은방법으로 프로그래밍할수있는 배치스크립트를 이용했습니다.
배치스크립트의 대부분은 넥스님과 왕미친놈 님께 배웠습니다 ㅇㅅㅇ
아래는 소스입니다.
@echo off //에코오프문으로 불필요한 메시지를 제거했습니다.
:RUN // 루프시작문입니다.
echo. // 빈줄로 보기좋게 맞춥니다
echo 파일구리가 기본경로 ex) 프로그램파일-프리챌-파일구리
echo 에 있다면 그대로 진행을, 아닐경우 설치된 폴더에 복사
echo 하신뒤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echo c: d:같은 드라이브 문자열에 상관없이 프로그램 파일즈
echo 아래에 파일구리가 설치되어있다면 패치가 됩니다.
echo 기본경로가 아닌경우에는 이 파일을 파일구리 설치된 폴
echo 더로 이동하신뒤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echo.
echo 제작 블로그 - http://smokingbird.tistory.com
echo. // 에코문은 단지 글을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 생각일 뿐이지만,,
pause // 계속하시겠습니까를 묻습니다
IF EXIST DB GOTO USER
// 배치파일과 동일한폴더에 DB폴더가있으면 USER루틴으로 가는데요,
이부분이 배치파일이 파일구리설치폴더에있는가 여부를 확인하는겁니다 ㅎ
GOTO문이 바로 루틴 옮겨주는 역할을 하는겁니다 ㄹ
:EXIST // 기본적으로 실행시키는 루틴입니다
cls // 화면을 정리합니다
cd %PROGRAMFILES%
cd Freechal
cd Fileguri // 파일구리가있는 폴더로 찾아갑니다.
GOTO USER // 유저루틴으로 갑니다.
cls
:USER // 유저루틴은 파일구리폴더에서 데이터베이스폴더로 들어가는 아주 간단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cls
cd DB
cls
GOTO PATCH // 패치루틴으로 넘어갑니다
:PATCH // 여기가 사실상 핵심입니다.
echo 이제 패치를 시작합니다
pause
cls
del bannedAdult.db // 일단 원래있던 데이터베이스파일을 지웁니다
이부분만으로 일단 검색어패치가 완료되었습니다.
mkdir bannedAdult.db // 같은이름으로 폴더를 생성합니다(파일이랑 컴터가 구분을 못합니다)
cd bannedAdult.db // 생성된 폴더로 들어갑니다
mkdir protect // 새로운 임의의 폴더를 만듭니다 이렇게되면 뒤집어씌우기가 불가능합니다.
cd..//상위폴더로 갑니다
attrib +r bannedAdult.db // 생성한 폴더를 읽기전용으로 바꿔줍니다. 이제 영구적인 패치가 끝났습니다.
cls
del bannedDownLoad.db
mkdir bannedDownLoad.db
cd bannedDownLoad.db
mkdir protect
cd..
attrib +r bannedDownLoad.db
cls
del bannedHash.db
mkdir bannedHash.db
cd bannedHash.db
mkdir protect
cd..
attrib +r bannedHash.db
cls
del bannedSearch.db
mkdir bannedSearch.db
cd bannedSearch.db
mkdir protect
cd..
attrib +r bannedSearch.db
cls
GOTO QUIT
:QUIT
echo 패치가완료되었습니다 아무키나 누르시면 종료합니다.
pause
EXIT
이패치의 핵심은,
컴퓨터는 멍청해서 파일이랑 폴더를 구분못하는거고,
게다가 뭘 갖고있으면 무서워서 건들지도 못한다는겁니다.
위같은걸 이용해서 다른여러군데에도 쓰일수 있다는건 참 햄보칸검미다 ㅎ
공부용으로 좋은거같아요 만들어놓고 보니까.
반응형
'OLD_po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렌식 도구 모음 (Digital Forensics Tools) (0) | 2013.04.28 |
---|---|
포인터 pointer 정리 (0) | 2013.03.10 |
윈도우7 로그인 암호 및 비밀번호 초기화 방법 (0) | 2013.01.28 |
javscript 페이지 새로고침(만료시간 없기) (0) | 2012.12.10 |
EIGRP (0) | 201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