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이것에 대해서 어떻게 구분하는지 물어보는 사람이 종종 있습니다.
관점에따라서 조금 다를수 있습니다만..
저는 이렇게 구분하고 있습니다.
똥을 컨트롤(차에 집어넣었다가 뺐다가하는 방향 컨트롤..-_-;;)차를 똥차라고 합니다. ㅎㅎ
L2 ~ L7 스위치는 각각 해당 레이어에서 사용하는 정보(주소)를 컨트롤 하는 장비입니다.
첫째, L2 스위치
L2 주소는 MAC 주소를 뜻합니다. L2 스위치의 역할은 MAC주소를 보고 이넘을 어떤 포트로 보낼것인지 컨트롤(스위칭)하는 장
비를 말합니다.
스위치는 MAC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을 기준으로 패킷을 해당 포트로 전달합니다.
둘째, L3 스위치 (라우팅)
L3 주소는 IP를 말하죠.
즉, 이쪽 IP는 어떤쪽으로 가고 저쪽 IP는 어디로 보내고.. 이것을 라우팅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L3 스위치(라우터 포함)은 로드밸런싱을 할수 있습니다.
흔히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것중에 라우터가 2대의 라인으로 연결되어있을 경우
스태틱으로 아래처럼 설정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ip route 0.0.0.0 0.0.0.0 1.1.1.1
ip route 0.0.0.0 0.0.0.0 1.1.2.1
셋째, L4 스위치
L4 주소는 포트번호를 뜻합니다.
여기서 포트번호는 웹은 80, ftp는 20/21번, 텔넷은 23번... 이런것을 뜻합니다.
L4 스위치는 L4 주소를 가지고 스위칭을 하는 장비입니다.
똑같은 IP에 대하여 포트번호가 다를 경우 다른 서버로 보낼수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http://www.naver.com 패킷(tcp/80)은 1번 서버로 보내고..
https://www.naver.com 패킷(tcp/443)은 5번 서버로 보내고
ftp www.naver.com 패킷(tcp/20,21)은 9번 서버로 보내고
...
이런식으로 하나의 IP 이지만, L4주소(포트번호) 별로 따로 따로 분배하여 보낼수 있습니다.
그리고 L3 스위치가 로드밸런싱 되듯이 L4 스위치도 로드밸런싱이 됩니다.
즉, 똑같은 80 이지만, 한번은 1번 서버로, 그 다음은 2번 서버로, 그 다음은 3번 서버로 분배가 가능합니다.
넷째, L7 스위치
L7은 어플리케이션 영역입니다.
우리가 쉽게 알수 있는 L7 주소로는 url을 예로 들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www.naver.com/image/ 요것은 1번 서버로 보내고..
www.naver.com/blog/ 요것은 2번 서버로 보내고...
www.naver.com/movie/ 요것은 3번 서버로 보내고...
물론, L4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L7 스위치도 로드밸런싱이 가능합니다.
당근한 얘기입니다만..
네덕 고수는 네떡초보자 보다 연봉이 더 쎄죠...^^;
글구, 네떡 고수는 네떡초보자가 할수 있는 일을 할수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높은 레이어 스위치가 가격이 비쌉니다.
그리고 각각의 스위치는 자기보다 낮은 레이어 스위치 기능까지 다 할수 있습니다.
즉, L7 스위치가 L4, L3, L2 기능을 다 할수가 있습니다.
이 정도면 L2~L7 스위치까지 구분하는데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OLD_po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어샤크 필터 정리 (0) | 2014.07.23 |
---|---|
MD5_and_SHA_Checksum_Utility (0) | 2014.07.18 |
L2 스위치, L3 스위치, L4 스위치 (0) | 2014.07.15 |
유니코드, 멀티바이트 (0) | 2014.04.04 |
문자열 함수 (멀티바이트->유니코드->TCHAR) (0) | 201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