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 분석
통제된 환경에서 분석- 별도의 네트워크 구축- 가상 머신 활용분석 툴 준비- Filemon, Regmon, TDImon, TCPView, Wireshark- Process Explorer- Winalysis- ImportREC, Revival- Strings, BinText 피해 시스템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크래킹에 사용된 프로그램(악성코드)을 발견하였다면 악성코드을 분석하여 공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악성코드 분석은 동적 분석과 정적 분석으로 나눌수 있는데 여기서는 동적 분석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정적 분석은 (2)에서 하도록하겠습니다.)VMware를 이용하여 통제된 환경을 구성하고 shadowbot 이라는 악성코드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해킹 프로그램 분석 과정을 이해하도록..